여행자가 몰리면서 생기는 부작용들
작성자 :
테마세이투어
작성일 :
2011.11.01
조회수 :
580
어떤 특정 지역에 여행자가 몰리면 대개는 경제적으로 윤택해지게 된다. 하지만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, 여행지의 성격이 완전히 바뀌거나 아니면 오히려 현지민들의 생활이 고통스러워지는 경우도 있다. 얼마 전 인솔 나갔던 중국 운남성의 샹그릴라는 ‘이상향’이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조용하고, 사람들은 순박한 동네였다. 하지만 방문객들이 급격히 늘면서 집도 드문드문하던 샹그릴라엔 거의 모든 관광지마다 대형 쇼핑센터가 들어서 있었다. 그것도 명소로 들어가기 위한 출입구를 겸하고 있어서 피해갈래야 갈 도리도 없게 만드는 영악함을 부리고 있었다. 손님이 오면 수줍은 미소로 야크차를 내주던 민가들도 이젠 노골적으로 뒷돈을 요구하니 그 순박함이 어디로 사라져 버렸는지 모르겠다. 그야말로 이상향은 타락했다. 이런 식이라면 ‘마음속의 해와 달’을 찾아 샹그릴라를 찾는 발길이 언젠가는 뚝 끊어질 것이라는 걱정도 들었다. 명청 시대의 가옥들이 가득해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듯했던 여강도 참 많은 것이 바뀌었다. 원래 많았던 외국여행자에 이젠 중국 내국인들까지 대거 뒤섞이면서 여강은 시장 바닥을 연상케 했다. 여기에 낮이고 밤이고 간에 상인들이 틀어놓은 시끄러운 음악은 더 이상 고즈넉한 여강을 기대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. 상인이야 돈이라도 벌겠지만 대대로 이 기와집을 지키며 조용히 살아온 일반적인 여강 사람들은 하루 종일 이어지는 이 소음이 분명 고통스러울 것이다. 약간 경우가 다르지만 이탈리아의 베니스도 이런 예 중 하나다. 얼마 전 ‘베니스를 찾는 전 세계의 여행자들이 베니스를 죽이고 있다’는 흥미로운 기사가 있었다. 관광산업이 베니스의 주요 수입원이 되면서 도시의 모든 기반시설과 사회적 시스템이 관광객에게 맞춰지다보니 정작 베니스인들은 불편함을 견디지 못하고 도시를 떠나고 있다는 게 기사의 내용이다. 예를 들어 주택 주변엔 온통 기념품과 명품 가게들뿐이어서 베니스인들은 식료품과 일상용품을 사기 위해선 수상버스를 타고 제법 먼 길을 가야한다는 것이다. 여강과 마찬가지로 하루종일 관광객들이 내는 소음도 도시를 떠나게 하는 요인이다. 실제로 베니스 인구는 50년 전 약 17만 명에서 현재는 6만여 명으로 3분의 1에 불과하다. 여행지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은 당장은 이익이 되겠지만 장기적으론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스스로 잡아먹는 꼴이 될 것이 분명하다. 탐욕으로 스스로를 망가뜨리지 말고 절제된 개발로 오랫동안 사랑받는 여행지가 될 수는 없을까.. |


테마세이 대표번호
여행 문의하기
어떤 특정 지역에 여행자가 몰리면 대개는 경제적으로 윤택해지게 된다. 하지만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, 여행지의 성격이 완전히 바뀌거나 아니면 오히려 현지민들의 생활이 고통스러워지는 경우도 있다.
TOP